[경제] 재벌들의 지주사 전환으로 얻는 이점
미원 지주사 / 지주사 전환 방법 / 지주사로 전환시 이점 / 지주사 전환 편법 미원홀딩스의 지분확보 방법 지주사로 전환한 대부분의 많은 기업들이 사용했던 방법이다. 미원의 경우로 다시 한 번 확인해 보자. 지주회사 분할 미원에스씨는 자사주 6.95%를 보유하고 있음. 미원에스씨는 2017년 5월 초 투자회사와 사업회사로 인적분할 주력인 에너지경화수지사업을 떼어 신규법인 미원에스씨를 설립 존속회사인 투자회사는 미원홀딩스로 상호를 변경 분할 후 두 업체는 거래소 상장 규정에 따라 재상장이 이뤄졌다. 분할 비율은 지주사(미원홀딩스)와 사업회사(미원에스씨)가 0.265대0.735로 정했다. 미원홀딩스 : 미원SC = 0.265 : 0.735 지주회사로 분할 후 얻게되는 이점 핵심은 A라는 회사가 B, C로 분할한 후에, A라는 회사가 가지고 있던 자사주가 B나 C 중 한곳으로 옮겨지는 것이다. (보통 그 회사가 지주사가 된다. 여기서는 B라고 하자.) B 에 옮겨진 주식은 A의 주식이었는데, 분할로 인해 B, C의 주식으로 나뉜다. 그러면, 이때 B의 주식은 다시 자사주로서 의결권이 없는채로 주주에게 도움을 주고, C의 주식은 B가 C의 주주를 소유하게 해준다.(원래 자사주가 없는 회사를 2개로 "인적분할"했다면, 분할한 2개의 회사는 아무런 소유 관계가 없다.) 이렇게 하므로써 "대주주-->B--> C" 의 관계가 자연스럽게 만들어진다. 여기까지는 "대주주-->A" 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여기에 대주주가 가지고 있던 A의 주식도 2개로 쪼개져서 B, C의 지분을 전부 들고 있게 된다. 이때 C 지분을 B에게 주고, B의 주식을 새롭게 받게 된다. 그러면 대주주의 B에 대한 주식비율이 올라가게 된다. 즉, "대주주===> B --> C" 가 된다. B--> C 의 관계에 대한 강화는 이제 B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