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종합투자계좌(Investment Management Account·IMA)
종합투자계좌(Investment Management Account·IMA) 투자관리계좌 이다. 고객은 이 계좌에 돈을 예금하는 것으로 일정수준의 이자를 받고, 증권회사는 이 돈을 굴려서 돈을 버는 것입니다. 고객입장에서 이 IMA 는 흔히 알고 있는 CMA 와 비슷하다. 크게 다른 것이 없다. 2016년 8월2일 금융위원회에서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 를 개정해서 새롭게 발표했는데 거기에 IMA가 추가되었다. 쉽게 이야기하면, "종합금융 투자사업자" 들이 취급할 수 있는 상품중에 새롭게 IMA 라는 상품도 취급하게 해준것이다. 종합금융 투자업자 우리나라의 종합금융투자사업자는 ref.2 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자기자본 3조이상의 거대 증권회사가 "종합금융 투자사업자" 인가를 받을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 6개 회사가 이 인가를 받았다. 참고로 이야기하면 대우증권 --> 미래에셋대우 삼성증권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현대증권 미래에셋증권 이다. 그런데 이 3조이상 되는 증권회사, 즉 "종합금융 투자업자" 면허를 받은 증권회사중에서도 자기자본이 8조이상되면 이 IMA 계좌를 만들어서 고객유치를 할 수 있게 해준 것이다. 얘기의 내용에서도 느껴지듯이 자기자본이 큰 증권회사에 주는 혜택같은 것이다. 그럼 의문이 하나든다. 이 계좌는 대신 고객돈으로 투자해서 이득이나면 고객에게 돌려주는 계좌라 했는데 증권회사에 어떤이익을 준다는 걸까? IMA 로 얻는 증권회사의 이익 일단 증권회사는 은행처럼 돈을 고객에게서 빌리는 수단이 생긴 것이다. 돈을 잘 굴리기만 한다면 고객에게 줄 이자이상의 수익을 낼 수만 있다면 이익이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이부분은 기존의 상품들을 더 팔면된다. 왜 굳이 이름도 생소한 IMA 로 만들어 팔아야 하는가. 이 부분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금융회사의 증권회사에 대한 레버리지 비율을 알아야 한다.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