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분기별 가계소득동향 조사

가계소득동향 조사 통계 문제점



분기별 가계소득동향 조사

  • 가구의 생활 수준과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1963년부터 조사[ref. 2]
  • 2017년 개정전까지 소득·지출을 통합 조사[ref. 2]
  • 2016년 폐지 결정: 가계동향은 가계금융·복지조사와의 유사·중복 문제가 제기돼 2016년 폐지가 결정[ref. 1]

가계금융·복지조사
  • 통계청이 한국은행·금융감독원과 공동으로 발표하는 가계금융·복지조사[ref. 1]
  • 국세청 납세자료를 활용[ref. 1]
  • 가계동향보다 조사 결과의 정확성이 높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ref. 1]

2017년 개정[ref. 2]

  • 소득 부문과 지출 부문이 분리
  • 공표 시기
    • 소득은 분기 단위
    • 지출은 연간 단위
    • 산출시점의 차이 발생, 소득은 전년 연간소득을 기준으로 통계가 산출되고, 지출은 당해연도를 기준으로 산출.
  • 조사 대상의 차이[ref. 4]
    • 소득부문은 2인 가구 이상
    • 지출부문의 1인 가구 이상
  • 조사방식
    • 가계부 작성에서 면접 조사
    • 표본 가구(8700가구)가 36개월간 가계부를 작성해야 하는데 
    • 고소득 가구의 응답률이 떨어져 --> 2018년 폐지이유.

2018년 폐지[ref. 2]

  • 지출부문에 특화된 연간통계로 개편
  • 소득부문 폐지이유: 고소득 가구의 응답률이 떨어져서.

2017년 소득부문의 부활

  • 정부부처와 학계에서 분기별 가계소득 통계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
  • 분기별 소득 통계를 활용해 문재인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인 ‘소득주도성장’의 성과를 하루 빨리 확인하고자 했던 의도도 있음
  • 소득 부문 다시 부활: 2017년 국회에서 예산 28억5천만원이 책정되면서 가계동향 조사 소득 부문 다시 부활

표본 교체에 따른 시계열 비교 논란

  • 2016년부터 3년간 표본 수가 들쑥날쑥하면서 발생한 문제
  • 2019년에 표본과 조사 방식, 기간까지 다시 개편되면 시계열 단절은 불가피.

가계동향 조사 표본 수

  • 소득 부분의 경우  2016년까지 8700가구
  • 폐지를 앞두고 2017년 5천 가구로 축소
  • 2018년 되살아나면서 다시 8천 가구로 늘렸다.
    • 그 과정에서 새로운 표본이 전체의 56.8%나 차지
    • 1분위에만 새로운 표본이 65%나 들어왔다.(1분위: 소득 하위 20% 가구)
  • 통계청: 2017년 축소된 표본 규모에서의 오차 수준은 2% 내외로 통계 작성 및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이 아니다[ref. 2]
  • 착시 현상의 가능성
    • 일부 전문가들의 주장
    • 올해 표본 가구에 빈곤층이 많은 1인 가구, 고령층이 많이 유입
    • 저소득층의 소득이 크게 줄어든 것과 같은 ‘착시 현상’이 발생
    • 실제로 1분위(소득 하위 20%) 가계소득은 2018년 1분기와 2분기에 각각 8%, 7.6% 감소
    • --> 소득분배 지표는 역대 최악(상위 소득과 하위소득의 격차가 커졌기 때문에)
    • 통계청: 올해 1인 가구, 고령 가구의 비중이 표본에서 늘었지만, 이는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등을 활용해 모집단의 변화를 반영한 설계라서, 시계열 비교 가능성을 확보했다고 강조[ref. 2]

References

  1. '가계소득동향 조사' 졸속 부활 묵인한 통계청 | 경제 | 뉴스 | 한경닷컴, 2017-12-12
  2.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논란은 언제쯤 종식될까요? : 경제일반 : 경제 : 뉴스 : 한겨레, 2018-09-20
  3. [오락가락 통계 논란] 통계혼선 막으려 없앴다더니.. 소비성향·흑자액 1년만에 부활 - 파이낸셜뉴스, 2018-09-11
  4. 가계동향조사 소득·지출 부문 다시 합친다…누더기 통계 논란 - Chosunbiz - 프리미엄 경제 파워, 2018-08-29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경제] 유치원비 확인 방법

[경제] 비용의 성격별 분류에서 재고자산 변동의 의미

[경제][용어] CP 와 회사채의 차이 그리고 전기단기사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