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ELS 구조
델타헷지 /델타 헤지/ ELS 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간략하게 알아보자. 개인적으로 ref. 3 이 가장 이해하기 좋았다. 고객 입장에서 간단한 ELS ELS 를 고객이 산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고객은 상점에서 물건을 사듯이 증권사에서 ELS 에 돈 얼마를 내면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어떤 ELS가 "기초자산" 의 지수가 "기준보다 70% 이상" 떨어지지 않으면 "원금 + 이자" 를 주고, 지수가 70% 이하로 떨어지면, 손실이 발생한다. "기초자산"은 KOSPI200 으로 한다. 라는 조건으로 되어 있다고 하자. 고객 입장에서야 그냥 이 ELS 를 사면 된다. 그러면 KOSPI200 의 지수가 70% 보다 떨어지지 않으면 고객은 "원금 + 이자" 를 받게 된다. 물론 70% 보다 더 떨어지면 손실이 발생한다. 간단하다. 마치 카지노 룰렛 게임에서 높은 확률에 거는 도박같다. 여하튼 고객입장은 간단한데, 이것을 실제로 동작(?) 하게 하는 것은 조금 복잡하다. 그러니까 도대체 증권사가 어떤 수를 쓰길레 70%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면 나한테 "이자"를 주겠다고 하는 건가? 이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서 ELS 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야 한다. ELS 수익구조의 복제 고객이 ELS 를 사면, 증권사는 이제부터 작업을 시작한다. ELS 계약에 써놓은 것처럼, 즉 70% 아래로 떨어지지 않을때 "원금+이자" 를 벌고, 70% 아래로 떨어졌을 때 고객이 손실을 떠안도록 작업을 해야 한다. 이것을 "ELS 수익구조의 복제" 라고 부른다. 주가가 특정기준 아래일 때 손해 일단 현재주가보다 70% 아래로 떨어질 때 고객이 손실을 입는 부분을 보자. 고객이름으로 Konk-in put option (녹인 풋옵션)을 발행한다. 이렇게 발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