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gs 리테일, 2019 사업보고서 정리
편의점 사업내용 / cu /gs리테일 / gs 지에스
기타 경쟁력
최근 동향
gs 리테일, 2019 사업보고서
편의점 사업
신규 사업자의 진출이 어려운 이유
- 브랜드의 인지도, 중요 경쟁력 요소 중 하나
- 다수의 점포를 운영해야만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
- 물류센터, 점포 운영 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으로 선행
- 기존 업체의 인수합병을 제외한 신규진입은 어려운 산업
- 소규모 자본으로는 시장 진입이 어렵고
- 대형유통업체들이 수십 년 간의 영업 노하우로 시장을 선점
타사 및 타업태 대비 차별성을 부각시키는 주요 경쟁력
- Merchandising(MD) 역량 확보
- 다양한 컨셉의 점포 출점
- 서비스 역량 확보
- 신규 서비스 상품의 지속적인 개발/도입 등
기타 경쟁력
- 상위 3개사의 (GS25, CU, 세븐일레븐) 시장점유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 소용량 식품 및 생활필수품 등을 판매함으로써 고가의 상품을 취급하는 타 유통업태보다 상대적으로 경기에 둔감한 편
2019년 성장요인
소비트렌드 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응
- 편의점 업계의 성장 요인은 다양한 포맷의 특화 점포 개발
- 간편식/HMR 강화 를 통한 편의점의 food점化 등
- 적은 투자비로 사업 안정성을 보장 받을 수 있다 —> 창업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편의점을 생계형이 아니라 사업 확장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 동향
- 최근 수년간 40대 이상 고객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
- 향후에도 고령화의 가속화 및 소비트렌드의 변화로 중장년층 소비자 구성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
- 편의점은 다각화된 소비계층 및 소비트렌드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신
- 주택가에서는 생활밀착형 점포로서 1차 상품(농ㆍ축수산물)의 구색을 강화
- 도심지에서는 커피 및 카운터 F/F 등을 취급하는 새로운 컨셉의 편의점을 출점
- 국내 편의점의 벤치마크 대상인 일본 편의점 시장
- 일본 편의점 시장처럼 국내 편의점 시장의 도시락 및 HMR 판매도 빠르게 증가
- 매출 구성비
- 담배
- 편의점 사업부의 매출구성비가 가장 높은 상품은 담배
- 전체 매출의 약 40%를 차지
- 음료제품
- 과자류
- 주류
- 즉석먹거리 상품순
수요변동요인
- 내적요인: 매장출점수가 가장 큰 영향
- 외적요인
- 유행 및 계층의 변화
- 경기적 상황
- 소비심리의 고저
- 소비트렌드 변화
- 기업이미지 등
슈퍼마켓
- SSM의 비중은 2014년부터 정체
- 최근에는 대체채널(온라인 플랫폼 등) 다양화 및 일반 소비자의 체감경기 악화 등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 판매비중이 가장 큰 식품류
- 생활유지에 필수적이고 종류가 다양
- 외부 요인에 의해 수요가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다.
호텔업
- 호텔산업은 경제성장에 따른 부의 확대
- 국제교류 증가에 따라 성장하는 대표적인 서비스 업종의 하나
- 고부가가치 산업
- 고용효과가 큰 자본집약적 산업
- 환율, 국내외 경기변동에 영향을 받는다.
- 단점
- 매출 규모에 비해 초기 시설투자 자금과 자본적 지출 규모가 큰 산업
- 타산업 대비 총자산회전율이 낮다.
- 이에 따른 감가상각비 부담
- 다소 낮은 수준의영업이익률.
성장성
- 중국 여행객수의 증가:THAAD(싸드) 이후 회복세
- 한류열풍
- 정부정책이 우호적
경쟁력
- 서비스
- 시설
- 위치
- 입지상의 강점
- 명동 관광특구 내 나인트리 비즈니스 호텔을 운영
- '16.8월 완공된 파르나스타워
- 글로벌 규격의 프라임 오피스 및 현대적인 쇼핑몰 아케이드가 결합된 복합타워
- '20년 1월부터 약 11개월 간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호텔의 객실 레노베이션이 진행중
헬스 앤 뷰티 사업
- 한국의 헬스 앤 뷰티 (Health & Beauty)는 해외와다르게 뷰티 상품을 주력으로 내세우며 발전
- 현재 헬스 앤 뷰티 업계에서 화장품 및 뷰티 상품이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그 비중은 점진적으로 증가
- 10~30대 젊은 여성 고객들의 니즈 및 트렌드를 반영하여 퍼스널케어 및 건강기능식품 라인업도 강화
- 백화점 대비 로드샵/원브랜드숍 대비 다양하고 차별화된 상품을 취급하기 위한 전략
- 국내외 독점 상품을 확보
- PB 상품 등을 개발
-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신규고객 확보에 전력
성장성
- 지난 3년간 헬스 앤 뷰티 산업은 지속성장
- 여러 뷰티 업체들이 출점 계속하면서 시장을 확대(CJ 올리브영, 롯데의 롭스 등)
- K-뷰티, 헬스, 웰빙 중심의 소비 트렌드가 확산
- 다양한 카테고리와 브랜드의 제품을 원스톱 체험 쇼핑할 수 있는 헬스 앤 뷰티 시장도 성장
- 정체
- 최근 온라인 업계와의 경쟁 심화 및 소비 트렌드의 급격한 변화 등으로 성장이 다소 정체되는 모습
- 단점
- 유통업은 경기 변동 및 소비 심리에 민감하게 반응
- 경기 침체 및 가격할인 등 경쟁이 심화
- 근거리 쇼핑, 소량 구매, 웰빙과 퍼스널 케어 중심의 소비 패턴 지속에 따라 타 유통업태와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 최근 3년 국내 헬스 앤 뷰티 산업과 lalavla의 운영 점포수 추이(감소중)
구 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헬스 앤 뷰티 산업 전체 | 1,350 | 1,500 | 1,540 |
lalavla(랄라블라) | 186 | 168 | 140 |
기타 사업
- 부동산개발사업
- e-커머스 사업: http://gsfresh.com
- F/F상품 제조업체: (주)후레쉬 서브
- 옥외 디지털 광고시장: ㈜지에스넷비전
- 물류: 씨브이에스넷(주), '19년말 기준 보유 지분율은 80.3% 입니다. 또한 택배 서비스 등을 편의점과 접목하여 생활서비스 제공을 선도
- 인도네시아 슈퍼마켓 법인 : 5개 점포 운영
- 반려용품 상품력 강화 및 온라인 플랫폼 구축: (주)펫츠비, 지분율 53.2%
- 주차장 업체인 지에스파크이십사(주) 지분 50.0%를 취득, 19년 1월
- F/F 상품에 포함된 양념 소스류 개발력 확보 및 안정적 공급을 통한 먹거리 차별화를 위해 소스 제조업체인 (주)에피스의 지분 100%를 '19.10월 취득
향후
편의점
- '20년은 편의점 재계약 점포 선점 및 객수 확대를 위한 점당 일매출 개선이 중요
- 재계약 시장 선점을 통하여 우량 점포를 적극적으로 확보
- 기존 가맹점 수익 확대에 역량을 집중
- 다양한 신성장 카테고리를 전략적으로 육성
- 다양한 포맷의 특화 편의점을 개발
- 편의점의 푸드점化
- 경영주와의 상생 활동을 지속적으로
- 최저수입보장 확대 지원
- 심야시간 운영점포 전기료 100% 지원
- 매출 활성화 솔루션 구축비 투자 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