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 건설
산업 건설 / 건자재 / 건축 / 건설사
건설
해외수주
- 철도
- 원전
- 병원
- 석유화학단지
- 가스전
- 항만
- 정유 화학 공장
- 국내 수소밸류체인 EPC 참여 : 삼성엔지니어링
- SMR, ATR, 수전해 설비
- 포집/액화, 암모니아 합성, 저장탱크 설비
- 수소발전 설비
- 소형원전 : 현대건설
- 설비 EPC
- 육상풍력 : 코오롱글로벌
- 해상풍력 : 현대건설
- 수전해
- 암모니아 합성 설비(암모니아 플랜트) : DL이앤씨, 현대건설
- CCUS(탄소포집)등 : DL이앤씨
산유국에서 받는 수주가 비중이 높다.
--> 그래서 유가가 좋아야 산유국의 이익이 좋고, 그래야 플랜트 수주를 많이 한다.
--> 단기적으로 한두번 수주 받는 것보다 지속적으로 받아야 한다. (1회성 이익은 그냥 롯또지…)
--> 이집트, 오만, 사우디, UAE
사우디 아람코 실적:
- https://kr.investing.com/equities/saudi-aramco-financial-summary
- 아람코 Saudi Arabian Oil Company - Yahoo Finance
건설사중에 해외비중이 높은 곳은 삼성엔지니어링
--> 그래서 국제유가와 상관관계가 깊다.
현재상황
- 분양계획물량: 과거 고점 수준
- 정비시장 규제완화 움직임
- --> 분양지연(재건축 중심)
국내 건설사
국내 ’주택/건축’부분 매출은 다음 2가지로 추정해 볼 수 있다.
- 분양계획 물량
- 정부의 공급계획
분양
이익의 대부분이 ‘주택/건축’ 부문에서 나온다. 그래서 ‘분양계획 물량’, ’정부 공급계획’이 중요하다. 그외 재건축 이익관련 규제가 중요하다. 규제에 따라 재건축시 이익이 달라지고, 부동산으로 이득을 보려는 사람이 많아진다. 그러면 건설사 수주가 증가하게 된다.
- 주택/건축 부분의 원가율이 다른 사업보다 낮다 70~80% 수준의 원가율 –> 수익성이 좋다.
- 정비 사업 : 재건축·재개발 사업, 정비규제의 영향이 크다.
- 도급 사업 : 신규아파트 분양, 수주부터 분양(착공)까지 1년 이내의 짧은 기간이 소요
- ‘분양 결과’ 가 선행지표가 된다.
- 분양예정물량이 전부 분양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번처럼 분양이 늦춰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 미분양, 준공후 미분양이 생길수도 있다.
- '분양결과'에 따라 건설사들의 실적과 주가가 결정된다.
- --> 정비시장의 규제완화 움직임
- --> 규제가 풀릴 수록 더 많은 이윤을 남길 수 있다.
- --> 분양을 지연시킨다
- --> 이 규제들은 정부가 정하기 때문에, 대선이 끝나야 정확하게 결정될 것이다.
- --> 그래서 22년2분기 부터나 분양이 풀린다.
현재(2021.11) 정비사업 보다는 일반도급 쪽에 비중을 높이고 있다.
- 도시 정비 줄이고 도급 사업 늘리고…대형 건설사의 변화된 주택 전술 │ 매거진한경, 2021-08
- 분양가상한제가 있어서 함부로 분양가를 높이지 못한다. 분양가에는 택지감정평가 금액이 들어가는데, 그래서 택지가격이 올라가면 당연히 분양가도 올릴 수 있게 된다. 주변 아파트시세가 올라가면 그것도 택지의 감정평가액을 올리는 요소가 될 것이다.
즉 아파트시세가 올라갈수록 높은 분양가로 분양할 수 있다. 그러면 같은 집을 지어서 팔아도 더 높은 가격에 팔 수 있단 이야기가 된다.
--> 그러면 당연히 이익이 늘어나게 된다.
집값이 상승기조라 늦게 분양할수록 유리하다.
금리, 대출
분양을 잘해야 건설사는 돈을 번다.
–> 그래서 소비자인 ‘개인’이 충분히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야 한다.
–> 개인은 대부분 대출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 그래서 ’금리’와 ’대출규제’ 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 금리인상
- 대출규제
업황을 판단하기 좋은 지표
- 분양계획 물량
- 정부의 공급계획
- 재건축 관련 이익규제 : 분양가상한제,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제, 층고제한
- 청약경쟁률, 경매낙찰율 등
- 청약 경쟁률 확인 방법
- 대한민국법원 법원경매정보 > 매각결과검색
- 미분양관리지역 공고 | 주택도시보증공사
- 미분양 주택 현황 통계자료 확인하는 법
분양지연 현황, 2021
- 2020년에 GS건설, 대우건설의 분양물량이 이전에 비해 크게 늘었다. 다른 건설사는 이전 최대수준 정도이다.
- 아파트, 재건축/재개발 ’분양 에정 물량’이 전부 분양되지는 못했다.
완화 정책, 2021-11-06 기준
- 정부의 역할이 중요.
- 2021년 7월 국회는 재건축 2년 의무 거주 법안을 폐기
- 서울시는 2040 서울플랜을 통해 한강변 층고 제한과 안전진단 완화 건의를 계획
- 정부는 2021년 9월 말 HUG의 고분양가 심사제도를 개선.
- 조만간 분양가상한제 개편안 발표 예정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