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동산] 리츠(REITs) 투자전에 알아두면 도움될 내용
부동산 / 리츠투자
리츠(REITs) 투자전에 알아두면 도움될 내용
- 자본시장 관계자들은 대기업이 리츠에 넘기려고 하는 부동산이 핵심부동산이 아닌 쭉정이 자산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
- 몇 차례 매각하려다가 실패한 부동산을 리츠에 편입하려는 곳도 있다.
- 리츠 AMC(Asset Management Company)가 지주회사 밑에 있다 보니 지주 경영진 눈치를 보느라 부동산 자산 운용 전문성을 발휘하기도 어렵다.
- 그룹 산하 AMC는 금융사 계열보다 연봉 등 처우가 안좋다.
- 그룹 내 여러 압박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 이미 상장한 리츠도 같은 상황
- 대표적인 리츠가 ‘롯데리츠’
롯데리츠
- 포트폴리오 대부분이 백화점과 마트
- 백화점 47.5%
- 마트&아울렛(복합) 11.7%
- 마트 13.9%
- 프리미엄 아울렛 10.4%
- 롯데백화점 강남점과 작년 편입한 호텔 L7 강남외엔 모두 지방
- 특히 아웃렛이 문제. 아웃렛은 도심이 아닌 외곽에 있다 보니 실질적인 땅의 가치는 크지 않다
한화리츠
- 한화리츠도 2023년 상장 당시 그룹 핵심 부동산이 빠졌다는 지적
- 한화생명의 노원·구리·평촌·중동 사옥의 가격이 모두 1000억원을 넘지 않았다.
- 한화손해보험 여의도 사옥을 제외
- 2024년 8월 한화생명으로부터 서울 장교동 한화빌딩을 매입
- 이 당시 과도한 유상증자 규모로 논란.
- 8000억원의 빌딩 매입가 역시 그룹 이익을 위해 시세보다 비싸게 책정된 것 아니냐는 비판
sk리츠
- SK리츠는 2023년 10월
- SK하이닉스의 수처리센터를 신규 자산으로 편입하기 위해 3000억원이 넘는 유상증자를 단행.
- 투자자들은 반발, 주가 또한 3000원대까지 떨어졌다.
개인적인 결론
개인적으로 리츠가 부동산을 매입매각하고, 월세를 받는 등의 활동을 통해 계속해서 이익을 증가시킨다는 가정하에서 리츠는 의미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저렴하게 사서 비싸게 팔아야 돈이되는 것인데, 그룹에게 자금을 대주기 위해서 비싸게 사주는 행위를 하면 리츠의 투자자가 어떻게 이익을 볼 수 있을까 싶다.
요즘은 해외 리츠에 대한 투자도 가능한 듯 하니, 그쪽을 알아보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을 듯 하다.
Reference
- 너도나도 리츠 만드는 대기업들… 까보니 우량 자산 없네, 2025-03-04

댓글
댓글 쓰기